CATEGORY 610

하이델베르크 요리문답의 성신론과 신령하고 자유스럽고 자연스러운 신자의 삶 - 김헌수 교수

하이델베르크 요리문답의 성신론과 신령하고 자유스럽고 자연스러운 신자의 삶 1 김헌수 교수(IRC신학교 교장) 흔히들 "개혁교회"는 성신론이 약하다고 하고, "신앙고백이나 요리문답"은 성경 말씀이 갖는 활력을 체계 속에 가둔다고 말한다. 만일 두 말이 사실이라면 "개혁교회"의 "요리문..

개역개정판(4판) 성경 번역 검토 보고서 - 고려신학대학원 교수회

개역개정판(4판) 성경 번역 검토 보고서 고려신학대학원 교수회 <구 약> I. 개역판보다 개악된 경우 1. 창세기 2:2 <개역판> “그 지으신 일이 다하므로 일곱째 날에 안식하시니라.” <개정판> “그가 하시던 모든 일을 그치고 일곱째 날에 안식하시니라.” /Tk]al'm]AlK;mi는 ‘일에..

삼위일체론 제5권 1 - 성 아우구스티누스(St. Augustinus)

삼위일체론 제 5 권 성 아우구스티누스(St. Augustinus) 김 종 흡 옮김 제 5 권 개요: 성경을 근거로 삼지 않고 자기들의 이성을 근거로 삼아서 이단자들이 주장하는 이론을 반박한다. 성부와 성자의 본질이 같지 않다고 생각하는 자들은, 하나님에 대한 말은 모두 그의 본질에 대한 말이기 때문이라고 한다. 따라서 낳는다와 난다, 또는 난다와 나지 않는다는 서로 다르며 서로 다른 본질이라고 한다. 그러나 저자는 하나님에 대한 말은 모두가 본질에 관한 것은 아니라는 것을 증명한다. 하나님의 본질을 선하시고 위대하시다고 할 때나, 그 밖에 하나님 자신에 대해서 말할 때와 다르다. 그러나 하나님에 대해서 상대적으로, 즉 하나님 자신이 아니라 하나님과 다른 존재와의 관계에 대해서 말하는 것도 있다. 예컨대..

신조학 2 - 필립 샤프(Philip Schaff)

제2장 에큐메니칼 신조 필립 샤프(Philip Schaff) 박일민 편역 1. 에큐메니칼 신조의 일반적 성격 우리는 에큐메니칼 혹은 공교회 신조(symbola oecumenica, s. catto-lica)를 통해서 초대교회의 교리적 진술들을 이해할 수가 있다. 오늘날의 희랍교회와 라틴교회와 복음적인 프로테스탄트교회들이 공식적으로 또는 묵시적으로 이 신조들을 인정하고 있는 것을 보면 이 신조들은 모든 교회들을 하나로 결속케 해 주고 있다. 에큐메니칼 신조에는 사도신경, 니케아 신조, 아다나시우스 신조 세 가지가 있다. 사도신경은 가장 간략하다. 다른 두 신조는 사도신경을 발전시키거나 해설한 것이다. 사도신경은 서방교회에서 가장 널리 알려진 신조인 반면, 동방교회에서는 니케아 신조가 가장 널리 알려졌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