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oday
- Total
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2 | 3 |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31 |
- CanRC
- 约翰·加尔文
- 게할더스 보스
- systematic theology
- Aurelius Augustinus
- Christian Nationalism
- St. Augustine
- John Calvin
- dr. lane g. tipton
- J. Gresham Machen
- 캐나다개혁교회
- Herman Bavinck
- 존 칼빈
- predestination and free will
- 성 아우구스티누스
- St. Augustinus
- Augustine of Hippo
- B. B. Warfield
- 삼위일체론
- Reformed Theology
- Reformed Forum
- Dr. Stephen Tong
- Dr. R. Scott Clark
- 코넬리우스 반틸
- Institutes of the Christian Religion
- Calvinism
- Reformed Dogmatics
- Geerhardus Vos
- joseph alleine
- Textual Criticism
목록CATEGORY (622)
Reformed Theology and Faith
10. 삼위일체 하나님이 조상들에게 나타나셨을 때에, 위격의 구별이 없었는가, 또는 어느 한 위격이었는가? 아담에게 나타나심, 아브라함에게 보이심. 17. 우선 창세기의 기사를 보면, 하나님이 흙으로 지으신 사람과 말씀하셨다. 우리가 이 문제를 논할 때에 비유적인 의미를 제쳐놓고, 이..
삼위일체론 제 2 권 성 아우구스티누스(St. Augustinus) 김 종 흡 옮김 제 2 권 개요: 저자는 삼위일체의 동등성을 계속 옹호한다. 성자와 성령을 보내시며, 하나님이 여러번 나타나신 문제를 논하면서, 보냄을 받으신 분이 보내신 분보다 작은 것이 아님을 증명한다. 삼위일체는 만사에 동등하..
8. 성자를 성부에게 복종시킨다는 말씀이 오해를 받았으므로, 그에 대한 성경 본문을 설명한다. 그리스도가 나라를 아버지께서 바치리라는 것은 나라를 그에게서 빼앗으리라는 뜻이 아니다. 하나님을 뵙게 되는 것이 모든 행동의 약속된 목적이다. 성령은 우리의 행복을 위해서 성부와 ..
삼위일체론 제 1 권 성 아우구스티누스(St. Augustinus) 김 종 흡 옮김 제 1 권 개요: 성경을 근거로 삼아, 삼위일체의 동일성과 동등성을 설명하며, 성자와 성령을 보내심에 대한 본문들을 해석, 검토한다. 1. 이성(理性)을 오용해서 삼위일체 신앙을 공격하는 궤변가들을 반박하려는 것이 이 책..
성경 해석의 기본 원칙 김명도 교수 오늘은 성경해석의 기본 원칙 이라는 주제로 강의한다. 이 강의는 성경 해석 방법을 구체적으로 설명한 내용이 아니고 일반 평신도가 반드시 알아야 할 성경해석의 기초 원리인 기본 원칙 만 다룬다. 자세한 개혁주의 성경해석방법 에 관해서는 10개 테..
삼위 일체 교리 입증(三位一體敎理立證) 김명도 교수 “여호와의 증인” 교파에서는 삼위일체 교리를 부인한다. 왜 부인하느냐고 물으면 성경에 없기 때문이라고 한다. 그렇게 말한다면 여호와의 증인의 여호와라는 말도 원문성경에는 없다. 구약의 워문에서는 YHWH 라는 네 글자 (이것을 ..
중생한 사람도 죄를 짓는가? 김명도 교수 중생한 사람은 도무지 죄를 짓지 않는다고 가르치는 분들이 있다 (완전주의). 정말 그러한가? 아담 안에서 범죄 하여 완전히 타락한 인간이 하나님의 택정함을 받아 예수를 믿어 성령께서 우리 안에 거하시고, 복스러운 믿음을 통해서 하나님이 우..
구 원 론(救援論) 김명도 교수 오늘 강의의 주제는 기독교의 구원론입니다. 사람이 어떻게 구원을 얻는가 하는 것입니다. 우선 알아야 할 것은 구원이란 무엇인가 하는 것입니다. 무엇으로부터 구원을 얻었는가 하는 말입니다. 구원을 얻었다고 하면 마치 물에 빠진 사람이 물에서 건져냄..
성령 세례와 성령 충만 김명도 교수 기독교를 믿는 성도들이 오해하는 교리가 성령이다. 어떤 분은 성령을 하나의 힘으로 보는 사람도 있다. 성령은 힘이 아니다. 성령은 하나님 바로 그분이다. 기독교의 하나님은 성부, 성자, 그리고 성령으로 삼위 일체 하나님이시다. 여호와의 증인은 ..
예배와 안식일에 관하여 - 웨스트민스터 신앙고백서 제21장 해설 - 김명도 교수 오늘 우리가 살고 있는 21세기의 교회는 하나님이 보실 때 통탄할 정도로 타락해 가고 있다. 20세기 초엽 독일에서 건너온 “종교사학파(宗敎史學派, Religionsgeschichtliche Schule)와 영국에서 들어온 이신론(理神論,..
개혁주의 신앙이란 무엇인가? 김명도 교수 사람들은 <개혁주의 신앙>이라는 말을 즐겨 쓴다. 가끔 신문에 <교회를 새로 개척한다>는 광고를 보는데, <신앙 노선이 개혁주의>라고 하여 예배에 참석해 보면, 설교나 예배 양식이나 간에 개혁주의와는 거리가 아주 먼 경우를 너무..
평신도들이 읽어야할 양서 목록 김명도 교수 사람의 사람됨은 두 가지로 가늠할 수 있는데 하나는 어떤 사람과 사귀는가 하는 것이요, 다른 하나는 어떤 책을 읽느냐하는 것이다. 사람은 누구나 다른 사람의 영향을 받게 마련이다. 신학교 강의실에서는 흔히 학생들이 자기들이 좋아하는 ..
캄파이스 교수와의 대담 (I) 김헌수 교수(IRC신학교 교장) 대담자(김헌수)는 2001년과 2002년 연구 휴가 동안에 네덜란드 개혁교회(해방)에서 교회사와 교의학을 가르친 캄파이스(J. Kamphuis) 교수를 찾아가서 몇 가지 주제로 이야기를 나눈 적이 있다. 연세가 80에 접어들었지만 여전히 정정하신..
한국에서의 개혁 교육 김헌수 목사 (대전성은교회, 현 IRC신학교 교장) 한국에서의 개혁 교육이라는 주제를 여러 나라에서 모인 형제자매들과 함께 다루기 위해서는 먼저 ‘한국에서의 교육’에 대한 것을 살펴볼 필요가 있습니다. 과거와 현재의 모습을 살펴보아야 개혁 신앙을 고백하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