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oday
- Total
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 orthodox presbyterian church
- dr. lane g. tipton
- Herman Bavinck
- 캐나다개혁교회
- Dr. Stephen Tong
- J. Gresham Machen
- 존 칼빈
- Kevin DeYoung
- Reformed Dogmatics
- 게할더스 보스
- Calvinism
- Textual Criticism
- John Calvin
- Reformed Forum
- 성 아우구스티누스
- St. Augustinus
- Geerhardus Vos
- Aurelius Augustinus
- 삼위일체론
- Dr. R. Scott Clark
- Reformed Theology
- systematic theology
- Christian Nationalism
- 约翰·加尔文
- predestination and free will
- B. B. Warfield
- Augustine of Hippo
- Institutes of the Christian Religion
- St. Augustine
- CanRC
목록Philosophy & Modern Theology (23)
Reformed Faith and Theology
개혁신앙과 개혁교회를 지향한다고 하면서 진자인 페더럴 비전 비판 I 믿음을 통해 얻은 구원은 율법을 지킴으로 유지할 수 있다고 주장하는 무리가 있다.개혁신학에서 중요하게 생각하는 언약사상을 이야기 하면서....언약은 약속(은혜)과 요구(율법)로 이루어진 ‘조건’이라면서 이미 ..
(<개혁논총> 2015년, 35권, 137-163.) 김세윤의 칭의와 성화에 대한 관점 비판 (이윤석 2015 개혁논총 35권).pdf 김세윤의 칭의와 성화에 대한 관점 비판 이윤석 목사(남서울교회) 1. 서론 본 논문은 김세윤의 최근 저서인 『칭의와 성화』를 통해 비로소 명료하게 드러난 그의 칭의와 성화에 ..
OSWALD CHAMBERS(1874-1917)의 신학 김명도 교수 오래전부터 인기리에 팔리던 Oswald Chambers 의 책들 (그 중에서도 특히 My Utmost for His Highest 라는 책) 이 한국에서는 요즘 날개 돋힌듯 팔리고 있어서 일반 교인들은 물론이고 심지어 목사들도 이 책에 열중한다고 한다. 사람은 어떤 사람과 교제하느냐..
페더럴 비전 : 캐나다 개혁교회 목사의 관점에서 Federal Vision: A Canadian Reformed Pastor’s Perspective 웨스 브레덴호프(Wes L. Bredenhof, CRTS 조직신학) 황준호 역 패더럴 버전, 캐나다 개혁교회 목사의 관점 - 웨스 브레덴호프(Wes Bredenhof).pdf 출처: https://yinkahdinay.wordpress.com
내가 바르트에게서 배우지 않았던 것 (What I Haven't Learned from Barth) 리처드 멀러(Richard A. Muller) 지난 수년간 칼 바르트의 탄생 100주년을 축하하고 20세기 신학에 대한 그의 공헌을 알리기 위해서 무수한 기념행사가 열리고 각종 추천서들과 논문들이 작성되었다. 나도 동일한 일을 하려는 것..
칼 바르트의 성경관 비판 김향주 교수(대신대, 조직신학) 서언 홍수처럼 밀어닥치는 자유주의의 물결속에서 우리가 찾아야 할 길은 무엇인가? 한국에서는 바르트 연구협회까지 생기고 더욱 가관인 것은 바르트야말로 20세기의 최대 신학자라고 각광을 보내고 바르트, 부르너, 헤겔, 슈라..
Eugene Peterson 의 "The Message" 무엇이 문제인가? 김명도 교수 요즘 미국에서는 Eugene Peterson 이 번역한 신약성경 The Message: The Bible in Contemporary Language" 가 크게 인기를 끌면서 교회들이 지금까지 사용하던 좋은 성경들을 버리고 이 성경으로 대치하는 경향이 있다. 미국에서 유행하면 곧 한국으로..